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 방법(임명구, 2013)
본 발명은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이나 빌딩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과정에서, 건축물을 구성하는 객체들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or 모듈)이 전반적으로사용되고 있다.
특히, 대형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기획하는 프로젝트에서, 이 같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or 모듈)을 이용하여 기획하고 설계하는 것은 필수적인 사항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건설분야에서는 이를 'BIM'이라 부르고 있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정보가 결합된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or 모듈)의 하나로,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고 속성정보를 담는 것을 말한다.
BIM은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해 시설물 생애주기 동안 의사결정을 하는 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 작성을 위한 업무 절차를 포함해 지칭한다.
BIM은 건설 전 분야의 시설물을 구성하는 객체와 이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객체들은 형상정보(기하정보), 속성정보를 포함하고 다른 객체들과의 상호 연결관계를 가지고 형성된다.
이를 통해 2, 3차원의 가시화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며 객체의 치수 및 면적 등과 같은 물량산출을 위한 정보의 추출도 가능하다.
BIM 데이터는 건물을 구성하는 벽, 슬라브, 창, 문, 지붕, 계단 등과 같은 객체들과 이에 대한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객체들은 서로의 관계가 정의되어 있으므로 설계의 변경사항 발생시 관련된 요소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도면 등으로 자동 반영될 수 있다. 또한, BIM 기술을 활용하면 대상 건물이 정형이든 비정형이든 관계없이, 건물을 지을 때 발생되는 모든 데이터를 프로젝트 별, 프로세스 별로 호환, 공유를 통해 모든 단계의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건물이나 빌딩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과정에서,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은 공사 구조물(예: 건물, 빌딩 등)을 이루는 객체들인 벽, 슬라브, 창, 문, 지붕, 계단 등을 각각의 공간속 위치와 속성으로 표현하여 서로의 관계를 인지하고 건물의 변경요소들을 건물설계에 반영하지만, 이는 단지 가상의 공간에서만 존재하여 계획과 설계 작
업에 활용될 뿐, 시공이나 감리와 같이 공사현장에서는 거의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사를 진행하는 거대한 빌딩이나 구조물을 기획하는 프로젝트에서, 시공작업은 매우 복잡하게 진행되고, 감리는 작업 전에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정보를 준비해야 하는 사전작업을 요구한다.
공사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시공과 감리작업에, 온라인 상의 3차원 가상공간 모델과 속성정보를 연동시킬 수 있다면, 작업장은 보다 안전하며, 작업자는 편리하고 효과적인 작업 수행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가상공간 모델링 시스템과 연동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건축현황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공사현장 감리 시스템 및 감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내!발명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립식 임시 거주 시스템(임명구, 2014) (0) | 2017.12.23 |
---|---|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임명구, 2014) (0) | 2017.12.23 |
재난 신고 시스템(임명구, 2013) (0) | 2017.12.16 |
판형부재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임명구, 2013) (0) | 2017.12.13 |
지능형 건설영상정보 관리 시스템(2009, 임명구) (0) | 2017.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