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끗한 하수 수집기(임명구, 2005)
깨끗한 하수 수집기(임명구, 2005)
본 발명은 세면대나 싱크대 등의 수도꼭지에서 배출되는 물이 사용되지 않고 그대로 하수로 배출될 경우 그 물을 모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나 싱크대에서의 물 이용행태를 살펴보면 많은 사람들이 수도꼭지를 틀어 놓은 상태에서 양치질이나 세수를 하거나 그릇 등을 닦는 일을 흔히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수도꼭지를 수시로 잠그는 일을 귀찮아하기 때문에 그냥 수도꼭지를 틀어 놓은 상태에서 물을 흘려보내며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수자원의 낭비가 컸다.
수도꼭지에서 방출되는 물은 수압과 중력을 받아 빠른 속도로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된다. 그 물줄기에 장애물이 없으면 물줄기는 세면대의 특정한
바닥면에 상당한 힘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물줄기에 장애물이 있으면 방출된 물의 물줄기는 방향이 바뀌거나 물줄기가 분산되어 상기 특정한 바닥면에 가해지는 힘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사람들의 물 이용행태를 보면 수도꼭지에서 방출된 물의 물줄기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은 사람이 적극적으로 물을 사용한다는 것이므로 상기 특정한 바닥면에 떨어지는 물줄기는 분산되거나 차단되어 그 바닥면을 누르는 힘이 줄어들게 되고, 방출된 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물줄기가 상기 특정 바닥면에 떨어지게 되므로 그 바닥면을 누르는 힘이 크게 된다.
따라서 수도꼭지에서 방출되는 물줄기가 세면대 바닥에 떨어지는 지점에 물줄기가 떨어지는 힘에 의해 개폐가 결정되는 장치를 두면 사용하지 않은
깨끗한 물이 떨어질때는 상당한 힘으로 상기 장치를 누르게 되고 그 힘으로 장치가 열리게 되면 물은 열린 장치로 흘러들어가 깨끗한 하수를 수집할 수
있다.